소득수준 관계없이 누구나 최대 30일 돌봄 이용가능
보건복지부는 기존의 공적돌봄 서비스로 채울수 없는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더욱 촘촘한 돌봄체계룰 규축하기 위해 올해부터 긴급돌봄 지원사업을 실시한다..
000질병,부상 등으로 급히 돌봄 서비스가 필요하면 소득과는 상관없이 누구나 긴급돌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희망자는 주민등록상 주소지와 읍면동 행정복지센테에 서비스를 신청하면 신속하게 이용 자격 확인을 거쳐 최대 30일(72시간)의 방문돌봄, 가사, 이동 등을 지원한다.
다만, 서비스 이용비는 소득수준에 따라 본인 부담이 차등 부과되는데 본인부담 비율은 지역별로 상이하며 이용시간과 횟수 본인부담 비윻에 따라 서비스 가격이 결정된다.
앞으로 달라지는 긴급돌봄 서비스
한편 정부는 국민 누구나 필요한 서비스를 누리며 삶의 질을 높일수 있는 제 1차 사회서비스 기본계획(2024-2028)을 수립하고 3대 분야의 9개 추진과제를 제시했다.
특히 국민들이 필요로 하는 요건들에 충족되게 비정형적-긴급 수요에 맞추어 다양한 서비스가 확충된다.
긴급돌돔 시비스는 앞으로는 이렇게 달라진다.
지금까지는 ▲ 갑작스러운 부상으로 수술을 받고 병원에서 퇴원하게 되었으나 혼자서 바로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려워 3주간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1인 가구의 A씨(28세)
▲ 혼자서 일상생활이 여려워 자녀의 동봄을 받고 있던 B씨 (65세)는 자녀가 입원하게 되자 돌바줄 사람이 없이 어려움을 겪음 ▲ 장기요양 신청 후 등급판정 전 심신의 기능상태 장애로 일상 셍활에서 상당부분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C씨(68세)
앞으로는 ▲ 병원 내 퇴원지원실을 통해 서비스를 연계받아 퇴원 후 긴급돌봄을 통래 신체일상 지원(세면, 식사보조등) 및 청소, 식사준비, 설거지 등 가사서비스를 지원받아 어려움울 해소 ▲ 자녀의 입원기간 동안 긴급돌봄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아 자녀가 치료를 마치고 퇴원할 때까지 불편없이 지낼수 있게 됨 ▲ 긴급 돌봄을 통해 장기요양 등급판정을 받기 전까지 돌봄 서비스를 제공받아 등급판정 전 기간에도 일상생활을 유지
거주지의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신청
그동안 가사 간병 방문지원 노인장기요양 등의 서비스는 신청후 결정까지 한 달 내외의 시긴이 소요되고 결정이휴부터 중장기까지 지원하고 있어 서비스가 급히 필요한 상황에서는 이용하기 어려웠다.
이에 질병,부상 갑작스러운 주돌봄자의 부재로 혼자 일상생뢀을 수행하기 어려움에도 돌볼수 있는 다른 가족의 없거나 다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긴급돌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용하는 방법은 돌봄 필요성, 긴급성과 보충성 요건을 갖춰야 하고 소득수준과 상관없이 이용할수 있다.
아용시간은 서비스 최대 30일 이내 범위에서 희망하는 시간을 선택하면 된다. 이에따라 자격조건이 맞으면 요양보호사등의 전문인력이 이용자의 집을 방문해 재가 돌봄, 가사지원, 이동지원서비스를 지원한다.
이번 사업은 14개 시도의 122개 시군구에서 추진하기로 했다. 아울러 올해 사업을 통해 현장서비스수요와 지역의 제공 역량 등을 확인하며 사업범위를 점차적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기존 서류만으로 확인이 어려울 경우 웁면동 제공기관의 현장확인을 통해 지원한다,
한편 이번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거주지의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신청하면 된다.
지원서류눈 병원 내 퇴원지원실 및 시군구(희망복지 지원단, 노인의료 요양통합돌봄팀등)추천서, 퇴원 확인서등으로 필요성이 확인되는 경우 별도 현장확인 없이 서비스를 이용할수 있다,
이번 서비스는 각 지자체와 함께 시도 사회서비스원이 광역지원기관으로 사업을 지원하고 우수한 역량을 보유한 민간 서비스 제공기관과 종합재가센터 등이 서비스 제공에 참여한다.
갑작스러운 사고나 긴급한 상황이 생겨 느군가의 돌봄울 받아야할 순간이 온다. 신체적으로나 심리적으로 불한하고 가족이 아닌 누군가의 도윰이 필요한데도 금전적인 부담이 생길 수 밖에 없다.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상황과 돌봄공백등으로 인한 불안을 해소하고 국민의 돌봄부담을 줄이고자 이번사업을 진행한다고 복지부는 밝혔다. 이번 서비스의 보다 자세한 내용은 사회서비스원 대표번호(1522-0365), 복지부(129)와 지자체별 콜센터에 문의하면 된다.
<<출처: 정책 브리핑 참조>>